Researches

심장과 혈관 근육의 생리와 질병기전 및 이온통로 기반 세포기능 이해

1

Pulmonary Hypertension & Right Heart Disease (SJ Kim & YK Jeon)

  • Pulmonary arterial smooth muscle contractility and myofilament (폐동맥 평활근 수축성과 근섬유)
  • Smooth muscle ion channel targeted therapy (동맥 평활근 이온통로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전략)
  • Right ventricular myocyte contractility and Ca2+ handling mechanisms in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ve right ventricular failure (폐동맥고혈압으로 초래되는 우심실부전에서 심장근육의 수축성 및 세포내 칼슘조절(칼슘완충능력) 변화에 의한 질환 기전 규명)

2

Pulmonary Hypertension & Pulmonary Arterial Smooth Muscle (SJ Kim, N Choi)

  • Changes in the ion channels (Kv7.4) and their roles (폐동맥 평활근세포 이온통로, 특히 Kv7.4의 변화와 이를 표적으로 폐동맥고혈압 극복 가능성 연구)
  • Mitochondrial abnormality and metabolic remodeling (폐동맥 평활근 미토콘드리아의 비정상적 변화 및 에너지대사 변이 양상 및 극복 전략)
  • Myofilament phosphorylation changes and their regulatory mechanisms in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ve smooth muscle (폐동맥고혈압에서 평활근 근섬유 인산화의 특이한 변화와 수축-이완 장애 기전 규명)

3

Novel Ion Channels, Channelopathy, Ion Channel Pharmacology
(SJ Kim, YK Jeon, N Choi)​

  • Calcium-Homeostasis Modulating Channel (CALHM) as novel Gap Junction (CALHM family large-pore channel의 간극결합 (gap junction) 형성 및 분자기전과 전기생리학적 특성 및 생리학적 의미 규명)
  • KCNQ4 mutation and non-syndromic hearing loss (유전성 난청 연관 K+ channel (KCNQ4)의 새로운 분자생리학적 특성 규명)
  • Long-QT and Brugada Syndrome (Cardiac arrhythmia due to genetic mutations in ion channels) and Molecular Physiology of Ion Channels (유전성 부정맥질환에 연관된 심장 이온통로의 기능변화를 설명하는 분자기전 연구)
  • Novel ion channel mutation in hereditary neural disease (유전성 신경계질환에서 새롭게 발견된 이온통로 특성과 질환기전)

4

Aged Skin Pathophysiology and Ion Channel (SJ Kim)

  • Changes of the ion channel expression in the keratinocytes from aged human (노화인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이온통로 발현변화 및 피부노화 기전 규명)
  • Maturation/development of keratinocytes and underlying changes of the ion channels (TRPV3 and TREK-2)

주요 연구 기법

Patch clamp technique

단일세포의 이온전류 또는 단일 이온통로의 활성을 직접 측정하는 기법으로 현대생리학과 세포생리학에서 가장 유용한 테크닉이라 할 수 있다. 우리 연구실에서 수행되고 있는 연구과제의 70% 정도는 이 연구기법과 직접 관련되어 있다.

Ionoptics System

Electrical field stimulation으로 반복 수축을 일으킨 단일 심근세포의 근절 길이 (sarcomere length)를 현미경 영상자동분석 장치를 통하여 정밀측정한다. 이 시스템은 아래의 형광분광법 장치와 통합되어서, 칼슘신호변화와 수축의 동시 측정도 가능하다.

Spectrofluorimetry

fura-2와 같이 이온농도의 변화에 따라 흡광스펙트럼이 변화하는 형광물질을 세포내로 넣어준 다음, 정밀한 분석기기에 의하여 세포내 이온농도를 실시간 측정할 수 있다. 도립현미경상에서 단일세포의 이온농도를 측정하는 기기와 함께, 부유세포들 (floating cells)의 이온농도를 한꺼번에 측정하는 cuvette type 등을 모두 보유하고 있다.

혈관수축성 측정기기

혈관 장력측정을 위한 Mulvany-type myograph,  생리적 압력 조건의 미세혈관 수축측정을 위한 pressurized artery video-analysis system 등이 사용된다.

-

-